흔들리는 천왕성
기한 없음
스톡홀름 모험가조합
프랑크푸르트의 케플러 씨로부터 온 의뢰다. 천왕성이라는 행성은 알고 있겠지? 그런데 궤도가 예측과 조금 다르다고 하는군. 이 의뢰는 천문학에 정통한 너한테 딱이라고 생각해서 말이지. 우선 본인을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보라고.
878000
80000

12

14

1
ssjoy
/age//age-19Century)
/선행/
선행 발견/퀘스트 [천문] 5 천왕성 <모험 | 사라진 별을 찾아라 (9 인식 11, 천문학 13, 독일어 1) - 스톡홀름>
/공략/
1.
프랑크 프루트 , 캐플러와 대화 x 3회 (11시 저택에서 북쪽)
2.
옥스포드 , 교수와 대화 x 2회
3.
마르세이유 서고, 학자와 대화 x 2회
4.
하와이 앞바다 , 밤에 인식AREA
1-1. 천왕성의 궤도
행성의 궤도는 다른 행성에게 영향을 받는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겠지. 이 현상은 섭동이라고 불리는데, 그 영향의 크기는 계산으로 예측할 수 있다네. 하지만 천왕성의 관측을 계속해보니, 궤도가 예측과 달라서 말이야.
1-2. 미지의 행성의 가능성
이것은 천왕성보다 바깥쪽에 미지의 행성이 있을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네.
태양에서 행성까지의 거리가 비교적 간단한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이론을 적용하여 찾아봤지만, 발견할 수 없었어. 천왕성의 궤도를 계산할 때는 도움이 되었는데 말이야….
1-3. 옥스포드에서의 조사
자네가 이 미지의 행성을 발견해주었으면 하네.
잉글랜드에서 흥미로운 학설이 발표된 것으로 알고 있어. 옥스포드 대학이라면 그 학설에 대해 아는 사람이 있을 게야. 뭔가 단서를 얻을 수 있을지 모르네.
2-1. 만유인력의 법칙
케플러 씨가 말하는 흥미로운 학설은 뉴턴이 주장한 만유인력의 법칙을 말하는 거군. 두 물체 사이에 당기는 힘, 즉 중력이 생기고 그 힘은 물체의 질량에 비례하고 물체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이지.
2-2. 안개의 나라
만유인력의 법칙에 준거한다 하더라도, 천왕성의 상세한 관측기록이 필요해. 그러나 이 나라는 안개가 많아 천왕서어럼 어두운 별의 관측에 적합하지 않다네. 이럴 땐 프랑스의 관측기록에 의지하는 것이 좋겠지. 분명 마르세유의 학자라면 기록을 정리해두었을 걸세.
3-1. 천왕성의 관측 기록
천왕성의 관측 기록이라면 제 수중에 있습니다.
그렇군요, 만유인력의 법칙을 사용하면 예상했던 궤도와 관측결과의 차이에서 미지의 행성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겠습니다.
계산해봅시다.
3-2. 미지의 행성의 위치
오래 기다리셨습니다.
찾고 계신 행성의 질량은 천왕성과 그리 차이가 없는 듯 합니다. 더 멀리 있다고 하면, 상당히 어두운 별이라고 생각됩니다. 하와이 연안에서 관측하는 것이 좋겠지요.
결론 - 미지의 행성을 찾아
의뢰인인 케플러에 따르면, 천왕성 바깥쪽에 미지의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. 뉴턴이 주장한 만유인력의 법칙과 관측 기록을 바탕으로 한 계산에 따르면, 미지의 행성은 천왕성과 비슷한 질량을 가지는 어두운 별인 것 같다. 하와이 연안에서 관측을 실시해, 이 행성을 발견하자.
/획득/
/Discovery Exp/ 1,170, /Card Exp/ 585,
/Exp After report/ 640, /Fame/ 810
의뢰 알선서 10
의뢰 알선서 10
- 발견물
해왕성 () 경험치: 명성:
천왕성의 궤도의 흔들림으로부터 존재가 예측된 행성. 크기는 천왕성과 거의 같지만,더 깊은 푸른빛을 낸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