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아하게 나는 거대한 새
기한 없음
리우데자네이루 모험가조합
이 도시의 도시관리의 의뢰네. 아마, 거대한 새에 관한 소문의 진상을 알고 싶다는 무양이네. 지금까지 수많은 새를 조사해온 자네라면 간단할 거라고 생각하네. 이번에도 잘 부탁하네!
244000
20000

10

12

1
ssjoy
/선행/
선행 발견/퀘스트 [조류] 5 큰콘돌 <모험 | 전설을 따라갈 자격 (10 생태 조사 12, 생물학 14, 마야어 1) - 런던>[조류] 5 하스트독수리 <모험 | 천공의 왕 (6 생태 조사 11, 생물학 13, 오세아니아어 1) - 자카르타>모험 | 말 같은 새 (6 생태 조사 3, 생물학 5, 스와힐리어 1) - 아덴, …모험 | 괴조 (9 생태 조사 11, 생물학 13, 고고학 2, 스페인어 1*) - 아테네모험 | 괴조를 다시 (10 생태 조사 13, 생물학 15, 오세아니아어 1) - 아테네모험 | 천공의 왕 (6 생태 조사 11, 생물학 13, 오세아니아어 1) - 자카르타
/연속퀘스트/
모험 | 말 같은 새 (6 생태 조사 3, 생물학 5, 스와힐리어 1) - 아덴, …
모험 | 괴조 (9 생태 조사 11, 생물학 13, 고고학 2, 스페인어 1*) - 아테네
모험 | 괴조를 다시 (10 생태 조사 13, 생물학 15, 오세아니아어 1) - 아테네
모험 | 천공의 왕 (6 생태 조사 11, 생물학 13, 오세아니아어 1) - 자카르타
/다음/
/next/
[퀘스트] 모험 | 위엄 넘치는 거대 날개 (10 생태 조사 12, 생물학 14, 지리학 10) - 암스테르담
/공략/
1.
리우데자네이루 , 도시관리와 대화
2.
리우데자네이루 , 지셀과 대화
3.
리우데자네이루 , 주점주인과 대화
4.
리우데자네이루 , 항구관리와 대화
5.
코피아포 , 주점주인과 2번 대화
6.
페루 해저분지 ,
코피아포 출항 직후 생태 조사×13146, 5794AREA
(13146, 5794)
1. 거대한 새의 소문
믿어지지가 않는 소문을 들었는데 그것에 대한 조사를 부탁하고 싶네. 놀라지 말게. 어른의 신장만한 크기의 새가 존재한다고 하네. 게다가 그 새는 날개를 치지 않고 날아오른다고 하네. 도대체 영문을 알 수가 없군! 소문의 출처를 확인하고 그 새에 대한 조사를 해 주게.
2. 지셀, 가르쳐줘!
아, 그 이야기라면 들은 적이 있어요. 누구였더라…. 음, 아마 얼마 전에 남쪽에서 온 뱃사람씨가 큰 새가 있다고 했던 것 같아요. 음…, 음…. 어디라고 했더라…
3. 도와줘, 주점주인!
…… 또 손님이 한 이야기를 잊어버렸구나, 너의 주특기지…. 거대한 새라…. 음…. 미안하네. 나는 그 이야기를 듣지 못해서 기억이 안 나네. 남쪽에서 온 뱃사람이 이야기했다면, 항구관리를 만나보는 건 어떤가?
4. 소문의 출처
날개를 치지 않고 나는 거대한 새 말이군요. 저도 희한하다고 생각해서 기억하고 있습니다. 코피아포를 거쳐 온 선박의 뱃사람에게 들었으니까, 그 도시의 주민이라면 알고있을 것 같군요.
5-1. 거대한 새의 정체
이 주변의 산맥에 사는 새 말이로군. 다른 새와는 달리, 상공의 강한 바람을 타고 나는 모양이네. 그래서 날개를 치는 일이 거의 없는 모양이네. 거대한 날개를 펼치고 하늘을 미끄러지듯이 원을 그리는 모습은 정말 우아하다네.
5-2. 그 새는 어디로
이 도시의 북쪽의 사막은 위험해서 우리도 잘 안 간다네. 그만두게. 새라면 바다 쪽에서도 볼 수 있을 거네. 일단, 선박을 타고 도시를 나가서 산 쪽을 보면 어떤가?
결론 - 거대한 새의 조사
날개를 치지 않는 거대한 새는 실존하고 있다! 산에 살며 춤을 추듯이 하늘을 선회한다고 한다. 육지에서의 조사는 단념하고 해상에서 산맥을 찾아서 확인을 해 보자.
/획득/
/Discovery Exp/ 1,080, /Card Exp/ 540,
/Exp After report/ 280, /Fame/ 240
의뢰 알선서 8
의뢰 알선서 8
- 발견물
콘도르 ★★★★★★ (조류) 경험치:1080 명성:415
매우 큰 새. 날개를 펼치면 3m나 되는 것도 있다. 큰 날개를 펴고 고원을 나는 모습이 자주 목격된다. 높은 지역의 절벽이나 바위 그늘에 둥지를 만들고, 대형 동물의 시체를 즐겨 먹는다. 50년 이상 사는 장수 새이다.